부작용 썸네일형 리스트형 꽁치 제철 10월 11월 손질법 보관법 효능 10가지 값싸고 영양이 많아 서민들의 식탁에 자주 오르는 꽁치는 10월에서 11월에 제철을 맞습니다. 제철 꽁치는 다가올 추운 겨울을 대비해 몸에 지방과 영양분을 쌓아두기 때문에 맛과 영양성분이 가장 좋습니다. 최근에는 통조림으로 언제든지 즐길 수 있는데요. 추워지는 날씨면 생각나는 건강한 음식 꽁치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꽁치란? 효능 부작용 고르는법, 손질법, 보관법 맛있게 먹는 법 꽁치란? 동갈치목 꽁치과에 속하는 물고기로 주로 아시아 사이의 북태평양 해역에 분포해있습니다. 아가미 주변에 침을 놓은 듯한 구멍이 나 있는데 이것 때문에 '공치'라 불리다가 꽁치로 바뀌었습니다. 특이하게도 위가 없어 먹은 음식을 바로 장으로 보내는데요. 이러한 특성 때문에 내장까지 모두 먹을 수 있는 생선입니다. .. 더보기 해삼 제철 10월 11월 손질법 보관법 효능 10가지 울퉁불퉁 이상한 모양과 흐물거리는 모습에 호불호가 뚜렷한 해삼은 10월에서 11월에 제철을 맞습니다. '산에는 산삼, 바다에는 해삼'이라는 말이 있듯이 건강에 이로운 해삼은 예로부터 귀한 식재료로 취급받았습니다. 일본에서는 내장으로 만든 '고노와타', 중국에서는 말린 '건해삼'이 최고급 재료로 인정받고 있는데요. 날이 추워지면 더 맛있어지는 해삼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해삼이란? 효능 부작용 고르는 법, 손질법, 보관법 맛있게 먹는 법 해삼이란? 불가사리, 성게와 같은 극피동물에 하나로 우리나라에서는 '미'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4억 3천만 년 전의 화석에서도 출현할 만큼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전 세계에 걸쳐 1,200여 종에 달하는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하지만 해삼을 먹는 나라는.. 더보기 꼬막 11월 제철 손질법 보관법 효능 10가지 찬바람이 불어오는 11월부터는 꼬막이 제철을 맞습니다. 탱탱한 속살의 쫄깃한 식감과 짭조름하면서도 은근하게 느껴지는 단맛은 겨울에 느낄 수 있는 별미 중 하나인데요. 단백질은 물론 필수아미노산과 다양한 항산화물질이 들어있어 노화를 예방하고 건강을 지켜주는 식품이라고 합니다. 우리 몸을 지켜주는 건강한 겨울 음식 꼬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꼬막이란? 효능 부작용 고르는 법, 손질법, 보관법 맛있게 먹는 법 꼬막이란? 돌조개목 돌조개과에 해당하는 생물로 고막처럼 탱글 하다고 해서 고막으로 불렸는데 사투리인 '꼬막'이 더 보편적으로 불리면서 표준어가 되었습니다. '안다미조개'라고도 불리는데요. 그릇에 넘치도록 많이 담겨있다는 순우리말인 '안다미로'와 '조개'가 합쳐진 이름으로 살이 꽉 찬 꼬막의 모습에.. 더보기 참치 참다랑어 제철 효능 10가지 손질법 보관법 흔히 '참치'라고 불리는 참다랑어는 '진짜 고기' 혹은 '참 좋은 고기'라는 뜻에 이름이 붙었다고 합니다. 살코기도 많고 맛과 영양분이 좋아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데요. '바다의 귀족'이라 불리는 참다랑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참치(참다랑어)란? 효능 부작용 고르는 법, 보관하는 법 맛있게 먹는 법 참치 (참다랑어) 란? 고등엇과의 다랑어 속에 속하는 생물로 3m에 달하는 크기를 자랑하는 대형 물고기입니다. 우리가 흔히 부르는 '참치'는 다랑어와 새치류는 함께 부르는 명칭인데요. 회로 자주 먹는 것은 '참다랑어'이며 통조림으로 먹는 것은 주로 '가다랑어'입니다. 태평양 바다에서 주로 서식하며 봄과 여름에 동해 쪽을 지나가 4월~6월에 제철을 맞게 됩니다. 대표적인 등푸른생선으로.. 더보기 홍합 제철 손질법 보관법 효능 10가지 추운 겨울이면 생각나는 뜨끈한 홍합탕은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술안주 중 하나입니다. 깊은 국물과 고소한 속살, 쫄깃한 식감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는 음식인데요. 영양도 풍부해 겨울에 만날 수 있는 바다의 보약이기도 합니다. 10월부터 12월에 제철을 맞는 홍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홍합이란 효능 부작용 고르는 법, 손질법, 보관법 맛있게 먹는 법 홍합이란? 사새목 홍합과에 속하는 연체동물로 살점이 붉은색을 띠어 홍합(紅蛤)이라는 이름이 붙었고 섭조개, 담치라고도 부릅니다. 하지만 사실 암컷만 붉은 속살을 가졌으며 수컷은 하얀색을 띱니다. 우리나라 전 해안에 걸쳐 분포하며 중국, 일본에서도 서식합니다. 암초 주변에 무리 지어 서식하며 해수면 쪽에 살다 보니 모래가 없어 해감할 필요가 없습.. 더보기 이전 1 2 3 4 다음